

SSE6001 사회과교육연구(Seminar in Social Studies Education)
사회과 교육의 역사적, 이론적 배경을 비롯하여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모형, 평가 등을 연구한다.
SSE6002 정치교육연구(Seminar in Political Education)
학생들의 정치의식이나 정치적 태도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등학교에 있어서의 정치교육의 의미, 내용, 방법 및 실제를 연구 검토한다.
SSE6003 경제교육연구 (Seminar in Economics of Education)
학교 경제 교육 목표, 내용, 교수 ㆍ 학습 방법, 평가 등을 연구한다.
SSE6004 사회학연구 (Sociological Inquiries)
현대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와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기초가 되는 사회학 이론과 사회학 방법론에 대한 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 사회학자와 현대 사회학자의 주요 이론, 방법론, 세부 사회학 영역(가족, 결혼, 계층, 교육 등)의 주요 주제를 다룬다.
SSE6005 법과사회 (Law and Society)
법률 일반에 걸친 이론과 사회적 규범, 역사, 철학 등을 논의하고 공사 영역에 걸친 법의 개념과 효과, 이상과 일반적 원칙들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법률적인 문제를 법률적 차원에서 쟁점화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방법과 해결능력을 기른다.
SSE6006 문화인류학특강 (Special Topics in Culture Anthropology)
인류의 탄생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들이 만든 문화의 갖가지 유형들을 개관하여 서로 다른 문화와 인종 사이의 상호이해를 돕는다.
SSE7001 한국전통문화특강 (Special Topic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그 민족이 소유하고 있는 생활 체제(전통문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동안 연구된 실적을 소개하고 이해시킴으로써 자기 민족과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한다.
SSE7002 동북아시아와 문화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Northeast Asia Culture)
한국 ․ 중국 ․ 일본의 문화를 비교하고 이들의 전파 과정을 연구하여 세 민족의 특성을 찾는다.
SSE7003 헌법학 (Constitutional Law)
이 강좌에서는 시민의 법질서 교육 토대가 되는 국가 최고 규범인 헌법의 기본 가치, 국가의 기본요소, 기본권, 국가 권력 기관의 구성과 기능을 개관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헌법적인 문제를 쟁점화하며 이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SE7004 법교육론 (Law-Related Education)
법교육의 실제에 관한 연구로서 법교육의 의미, 방법론, 법교육의 자료 수집과 가공, 법교육의 평가, 법교육의 과제 등을 연구하고 토론한다.
SSE7005 지방자치와 시민참여 (Local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지방분권적인 권력구조에 따른 법적, 행정적, 정치적인 문제를 검토하고 시민참여의 의미, 과제, 방법 및 시민참여의 개별 사례의 공과를 분석하고 토론한다.
SSE7006 주거민속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Residence Culture)
민족마다 다른 주거 문화를 비교하고 이들의 전파 과정을 연구하여 민족의 특성을 찾는다.
SSE7007 정치교육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Political Education)
각국의 정치교육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의 정치교육 발전방향의 시사점을 발견한다.
SSE7008 경제이론특강 (Theories in Economic Education)
기초경제, 미시경제, 거시경제 개념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경제 교육 학습 방법을 탐구 ㆍ 적용하도록 한다.
SSE7009 사회교육연구방법 (Research Method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SE7010 동북아시아의 주거민속특강 (Topics in Traditional Village of Northeast Asia)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의 동북아 지역의 주거 민속에 나타난 특성을 연구하는 방법론을 이해한다. 나아가 문화접변을 연구하는 문화유형론적 시각과 문화맥락론적 시각을 이해하도록 한다.
SSE7011 인권교육 (Education of Human Rights)
헌법과 국제적 관점에서 인권의 기본적 개념과 내용을 이해하고 인권교육 사례들을 개관하고, 인권 이론, 인권 실천 방법, 인권 관련 이슈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RM7012 사회과교육방법특강 (Topics in Teaching Method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RM7013 통일교육세미나 (Seminar on Unification Education)
RM7014 비교정치분석론 (Theories of Comparative Political Analysis)
각국의 정치를 비교 ㆍ 분석하여 유사성과 상이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국가론, 정부론, 정치발전론 등의 이론을 소개한다.
RM7016 동북아시아의 놀이문화연구 (Studies in Game Culture of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의 축제를 비롯한 놀이문화 전반에 걸친 접근방법론을 이해하고 문화분석과 현지조사 방법론을 연구한다.
RM7017 민주주의와 참여 (Democracy and Participation)
민주공동체의 번영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상을 정립하기 위하여 민주주의의 내용과 방법을 탐구한다.
RM7018 사회과교육특강 (Theori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사회과 교육의 성립 및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일반사회 영역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는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도록 한다.
RM7019 한국정치세미나 (Seminar in Korean Politics)
정치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정치현상을 분석하고 한국정치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RM7020 국제정치와 한반도 (International Relation and Korean Peninsula)
문명사적인 변화 속에 국제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공적 사적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RM7021 교육과 정치발전 (Education and Political Development)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 관련된 정치 문화, 정치 이념, 정치 제도 및 정치 과정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제공한다.
RM7022 전통문화교육론 (Teaching Methodology of Traditional Culture)
전통문화의 특성을 연구하여 사회과의 문화교육적 요소를 도출하고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과 교수학습 방법론을 연구한다.
RM7023 문화비교방법론 (Studies in Comparative Culture)
다양한 층위의 문화를 비교할 수 있는 문화비교 방법론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문화기술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RM7024 지역문화연구 (Studies in Regional Culture)
인천 경기의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문화를 사회과 교육에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한다.
RM7025 미디어문화교육론 (Teaching Methodology of Media Culture)
미디어와 미디어 문화에 관한 이론 전반을 연구한다. 특히 문화인류학, 문화사회학, 문화경제학, 문화기호학, 문화연구, 문화비평, 문화교육학에서 거론되는 미디어의 개념과 연구방향을 이해한다. 아울러 이를 사회과 학습현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다.
RM7026 사회문제연구 (Seminar in Social Problems)
현대사회에서의 주요 사회문제들에 대한 사회학 이론과 실제 사례에 대해 연구ㆍ분석한다.
RM7027 한국사회연구 (Seminar in Korean Society)
한국 사회의 주요 사회학적 쟁점을 탐색하고 학습한다. 한국 사회의 근대화, 산업화, 도시화, 국제이주, 고령사회화 등이 야기한 주요 사회 변화가 한국 사회에 가지는 함의에 관한 관련 이론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RM7028 사회변동연구 (Seminar in Social Change)
사회변동에 대한 주요 이론을 학습하고, 현대 사회의 사회변동 사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사회변동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RM7029 경제교육 내용연구 (Seminar in Economic Education Contents)
기초 경제 개념, 미시 ㆍ 거시 및 국제 경제 이론과 중등학교 경제 관련 내용과 연계하여 탐구한다.
RM7030 경제교육 방법연구 (Methodology of Economic Education)
경제 교육 학습 이론, 교수 ㆍ 학습 방법과 이의 적용 등을 연구한다.
RM7031 경제교육특강 (Topics in Economic Education)
최근의 경제 교육 이론과 동향 및 관련 연구물을 연구한다.
RM7033 정치이론특강 (Theories of Political Science)
현대 사회에 있어서의 정치의 의미를 연구해 보고 정치 현상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정치학 이론의 전반에 관하여 분석 ㆍ 검토하며 한국의 정치상황과 정치발전에 대하여 토의한다.
RM7034 국제관계와 국제이해교육 (International Relations and Global Education)
세계화라는 문명사적 변화에 대응하려면 국제이해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국제관계이론과 국제이해교육의 방법과 내용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RM7035 사회과교재연구 (Seminar in Social Studies Textbooks & Materials)
사회과 교육 관련 교과서 및 연구물을 분석하고 교재 개발 등을 탐구한다.
RM7036 사회과교수ㆍ학습연구 (Seminar in Teaching and Learning of Social Studies)
사회과 교수ㆍ학습 이론과 모형, 교수ㆍ학습 동향,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과 이의 적용등을 연구한다.
RM7037 사회과교육과정연구 (Seminar in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사회과 교육 과정 이론 변천, 다양한 교육 과정 유형,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 과정의 변천, 새로운 교육 과정 등을 연구한다.
RM7038 사회교육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사회교육학 및 사회학 분아에서 주로 사용하는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심화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심층 면접, 포커스 인터뷰 등의 질적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학 연구 현장에서 연구를 수행할 때 필요한 연구 계획 설계, 연구 실행, 분석 등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실습을 겸한다.
RM7039 국제지역연구 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Area Studies)
국제 지역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론과 선택한 지역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에 대한 지역학적 사례 연구를 통해 외국 지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화와 세계화, 발전과 저발전, 사회계급, 노동과 일의 변화, 도시 변화, 국제 이주 등에 관련한 주요 주제와 논쟁을 중심으로 국제 사회의 변화를 연구한다.
RM7040 이주사회학 세미나 (Seminar on Sociology of Migration)
세계화와 더불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국제 이주와 이민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과 이해를 심화하며, 초국적 이주를 포함한 국제 이주 이론의 주요 쟁점을 다룬다. 특히, 이주자 유형, 가족, 세대, 이민 공동체, 본국 및 주재국 사회 간의 관계, 국가와 시민권 등에 대한 최신 이론과 실증적 사례 연구를 통해 이주사회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