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EDC1100교육철학및교육사(Philosophy and History of Education)  

한국교육사, 서양교육사, 교육철학을 내용적으로 다룬다. 한국교육사는 원시시대부터 해방 후까지의 교육기관의 발달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서양교육사는 그리스, 로마부터 현대까지의 흐름을 시대적인 배경, 교육사상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교육철학은 대표적인 철학의 핵심적인 특징, 교육과 관련된 논의, 교육적 시사점을 다룬다.

 

 

  EDC1104교육심리(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의 심리적 기초를 이해하기 위해,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학습자의 발달적 인지적 동기적 특성과 관련된 발달심리학 이론들을 학습한다. 또한 행동주의 이론, 인지주의 이론 등 학습심리와 더불어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교수이론도 다룬다. 그리고 정신건강, 생활지도와 상담에 대한 소양을 키우며, 심리검사 및 교육평가에 대한 기초도 학습한다. 나아가서 한국 청소년 문화를 이해하고, 가정교육 및 학교교육의 중요성과 영향에 대해서도 다룬다.

 

 

  EDC1105교육사회(Sociology of Education)  

인간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학습을 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인간 학습을 안내하고 지도하는 모든 교육은 사회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강좌는 교육의 사회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이해,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EDC2101교육과정(Curriculum Theories)  

교육과정 입문 강좌다. 학교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관점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는 왜?, 학교교육은 왜?, 교육과정은 왜? 라는 질문에 대해 지적인 호기심을 갖는 것만으로도 본 강좌의 목적은 달성한 것으로 본다. 1. 커리큘럼, 클래스는 언제 어떻게 유래하였으며 어떻게 변화해갈 것인가? 2. 학교는 왜 교과라는 형태로 지식을 가르치고자 하였을까? 3. 수업에서 교과서, 즉 레디메이드 텍스트는 꼭 필요한가? 4. 학교는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따라야 하는가 아니면 벗어나야 하는가? 5. 학생은 학교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EDC2103교육방법 및 교육공학(Instructional Methods & Educational Technology)  

본 강좌는 교육공학의 이론과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개괄하면서 이를 실제 수업 및 교수개발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이슈들을 다루는 교육공학 입문 강좌이다.

 

 

  EDC2107특수교육학개론(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대상자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협력, 서비스지원체계, 특수/일반교사역할, 가족지원 및 지역사회 참여 등)을 살펴본다.

 

 

  EDC3102교육평가(Educationl Evalauation)  

교육평가의 유형별 특징, 이원목적분류표, 문항제작 원리, 문항특성(난이도, 변별도, 추측도), 검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점수의 해석과 보고, 수행평가 등의 내용을 다룬다.

 

 

  EDC3106교육행정 및 교육경영(Educational Administration & Management)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에 관한 기초이론을 살펴보고, 그 실제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체제이론, 동기이론, 지도성이론, 의사소통론, 교육계획론, 교육정책론, 교육조직론, 교육인사행정론, 장학론, 교육제도론, 교육법론, 교육재정론, 학교경영론, 학년경영론, 학급경영론 등을 살펴본다. 우리나라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실제를 이해하기 위한 관련 자료의 이해와 그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EDC3310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School Violence Preventation and Intervention)  

최근 학교폭력으로 학생들의 자살이 잇달아 발생하여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학교폭력은 단순한 청소년 문제가 아니라 우리 학생 모두가 가피해자가 될 수 있고 그 폐해가 개인, 가정,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침으로서 교육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교사가 되려고 하는 지망생이나 현직 교사들은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지도 능력과 사안 발생 시 대처방안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본 과목이 정식 교육과정에 도입되었다. 본 강의에서는 학교폭력을 정확히 이해하고,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지도 방안, 사안발생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EDC4108교직실무(Educational Practicum)   

이 강의에서는 교사들이 교직에서 경험하게 될 핵심적인 업무들을 선정하여 그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 그리고 실천에 필요한 안목과 실행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등학교 조직과 교사, 중등학교 교직실무의 이론적 기초, 중등학교에서의 학급경영 실무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EDC4109교육실습(Educational Teaching Practicum)  

본 강좌는 예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현장학교 실습에 앞서 수업지도안 작성법을 익히고 수업실연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방법 및 전략을 학습한다.

 

 

  EDC9112교육봉사활동1(Mentoring in Education 1)  

 

 

  EDC9113교육봉사활동2(Mentoring in Education 2)  

 

 

  GEB1201 실용영어 L/S(Practical English : Listening and Speaking)  

The aim of this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course is to challenge students yo consider present-day questions in modern society. Students will have mant opportunities to improve all areas of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on the intermediate level.

 

 

  GEB1202 실용영어 R/W(Practical English : Reading and Writing)  

The course aims to give English learners practical knowledge of English to help them to adapt to the real work environment. Handsome knowledge of vocabulary, correct use of English language(grammar), understanding of audio-visual materials as well as reading contents, and the ability to write different types of documents or essays are needed to make the goal a real thing.

Besides, it aims to help English learners to function properly and actively in the bossiness world in terms of communication.

 

  GEB1203 고급대학영어(Advanced College English)  

This course is an upper-intermediate level English course for the 2nd year students. It i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proficiency in English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in English based on what they read on various topics.

 

 GEB1107 의사소통 영어(English Communication: Pre-Intermediate)

This course is a Pre-Intermediate level English course for the 1st year students. It i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in the academic settings.

 

 GEB1108 의사소통 영어: 중급(English Communication: Intermediate)

This course is an Intermediate level English course for the 1st year students. It i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in the academic settings.

 

 GEB1109 의사소통 영어: 고급(English Communication: Advanced)

This course is an Advanced level English course for the 1st year students. It i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in the academic settings.

 

 

  GEB1125인문사회계열 글쓰기와 토론(Writing and Discussion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읽기, 말하기, 쓰기와 관련된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토론의 실제적인 방법을 습득하게하여 통합적인 사고능력을 갖춘 교양인을양성하는데에 강의의 주안점을 둔다.

 

 

  GEB1131생활한문(Common Chinese Character)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실용적인 한자를 공부하는 수업이다. 본 강의에서는 실생활과 학문영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한자를 학습하여 수학능력을 제고하고 교양인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

 

 

  SSE1111정치와 사회(Society and Politics)  

이 과목은 정치란 무엇인지, 정치를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틀 속에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건강한 민주시민으로서, 세계시민으로서 함양해야할 자질과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표가 있다.

 

 

  SSE1131인간과 사회(People and Society)  

사회학적 입문을 위해 사회학 개념, 주제, 쟁점을 다루면서, 동시에 사회과학 현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방법론적 자세인 "사회학적 상상력"을 키운다. 사회학 이론, 방법론, 세부 사회학 주제 (도시, 가족, 결혼, 생애과정, 계층, 교육, 미디어, 사회운동, 범죄 등)을 다룬다.

 

 

  SSE1161사회과 교육론(Theories in Teaching of Social Studies)  

이 강좌는 학생들이 사회과교육의 역사와 목표를 이해하는 것을 도와주고 사회과교육과정과 수업 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다양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을 다룬다.

 

 

  SSE1221경제교육론(Economic Education)  

경제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핵심적인 주제들 위주로 선정하여 논리적으로 경제학적인 개념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이 과정에서 경제학의 기본 개념을 익힌 후 시장 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정부의 가격 규제나 조세에 의해 발생하는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외부효과, 공공재, 독점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시장실패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SSE1241문화와 교육(Culture and Education)  

본 교과목은 사회교육과 예비교사들에게 사회문화 현상을 바람직하게 인식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새로운 문화 창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수업 설계를 하였다. 특히 교육을 문화인류학적 연구대상으로 간주할 수 있는 학문적 안목을 배양하고, 다양한 문화 현상들을 학교 교육으로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SSE1251법교육 개론(Introduction to Law-related Education)  

법교육의 기초이론과 내용적 배경이 되는 법학 전반의 기초적 원리와 지식에 관한 강의이다. 법교육의 개념과 목적,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교육과정에 포함된 법교육의 내용적 요소에 대해 학습한다.

 

 

  SSE2121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우선 경제학의 기본 개념을 개략적으로 복습한다. 다음으로 수요 및 공급곡선 분석을 통하여 시장경제에서의 가격 결정요인을 파악한 후 완전경쟁, 독점적 경쟁, 독과점 및 독점기업들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정책을 살펴본다.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을 통하여 임금소득과 차별, 소득불평등과 빈곤 등 노동시장의 경제학을 파악한다. 한계효용이론 및 무차별곡선이론을 기초로 소비자선택이론을 분석한다.

 

 

  SSE2141문화와 사회(Culture and Society)  

문화와 사회는 인간을 존재하게 하는 중요한 두 축의 개념이다. 그러나 우리는 존재하게 하는 이 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순응할 뿐 따져 보려 하지 않는다. 사회를 조직하고 문화를 형성하는 것은 우리 인간들이지만, 그 사회와 문화는 다시 우리 인간을 옭아맨다. 사회와 문화적 현상에 대한 비판적 읽기는 인간사회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강의는 먼저 문화인류학의 개념이해, 사회현상에 대한 문화 분석 등 다채로운 주제를 가지고 사회문화현상을 새롭게 재구성해 갈 것이다.

 

 

  SSE2151법과 사회(Law and Society)  

법과 사회의 관계, 국가공동체에서의 법교육 원리의 이해 기본권론 탐구: 기본권의 종류와 구체적 사례 탐구 통치구조론 이해: 국회, 정부(대통령), 법원, 헌법재판소 이해 강의와 과제로 이루어져 있고 헌법기관 방문 수업이 병행된다.

 

  SSE2211국제관계론(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행위자들 간에 이루어지는 경쟁적·협력적·혼합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제관계현상을 분석하는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는 데 있다.

 

 

  SSE2231세계화와 현대 사회 (Globalization and Contemporary Society)  

세계화가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글로벌한 시각에서 다루는 사회학 과목이다. 글로벌 사회학(Global Sociology)의 역사, 주요 개념, 방법론, 근대성, 글로벌 불평등, 글로벌 기업과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한 미래, 세계화와 국가, 인구와 이주, 세계화와 문화 이슈, 지구적 시민사회 등을 학습한다.

 

 

  SSE2242한국문화의 이해(Korean Culture)  

본 교과목은 사회교육과 예비교사들에게 한국의 문화현상을 문화인류학적 시각을 통해 기술, 분석, 해석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특히 문화인류학의 민속학적 접근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 유전자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의 근원을 탐구한다.

 

 

  SSE2252범죄와 형벌(Criminal law)  

범죄와 형벌에 관한 기초적인 개념을 습득해야 하므로 수업의 일반적인 방식은 강의식으로 진행된다. 범죄와 형벌에 관한 판례와 사실 관계 조사, 형사법정의 방문 수업이 있다. 수업 과정 중에서 사례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필요하다.

 

 

  SSE2261사회과 평가론(Evaluation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에서 평가 목적을 이해하고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도구를 개발하며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분석한다.

 

 

  SSE2371인문지리학(Understnading for Human Geography)  

경제지리에서 주로 다루는 농업입지, 공업입지, 포스트포디즘, 신산업지구론, 산업 클러스터론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도시지리에서 주로 다루는 도시화이론, 도시체계론, 도시구조론에 대해 학습한다.

 

 

  SSE2372자연지리학(Understanding for Physical Geography)  

우리나라의 지역 특색과 주민생활, 국토개발 현장 등과 같은 지리적 경관을 이해하고, 한국지리의 자연지리 부분을 원론적으로 학습한다.

 

 

  HIS1001 역사학입문(General Approach to History)  

역사학의 핵심개념이라 할 수 있는 사실과 기억, 주관과 객관 등에 대해 살펴보면서 역사학을 둘러싸고 진행되어온 개념과 방법론적 발전 과정을 이해한다.

 

 

HIS1003 한국사입문(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한국사의 전반적 흐름을 이해하고, 각 나라의 성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나 유물에 대해 충분히 학습한다.

 

 

  SSE3132사회과학방법론(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사회과학방법론은 어떻게 사회과학적(혹은 사회학적) 지식을 생산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탐구한다. 사회과학의 기본적인 과학적 탐구 방법론, 인식론과 주요 방법론에 대한 이론들을 배우고, 방법론적 전통, 그리고 세부적인 연구방법과 주요 개념에 대해 배운다. 사회과학적 자료와 지식을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보다 더 창조적으로 사회학적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을 키운다.

 

 

  SSE3162일반사회 교재연구 및 지도법(Seminar in Social Studies Textbooks &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이 강좌는 학생들이 수업 설계의 기본 조건을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수업을 설계하여 시연하며 수업 관찰과 분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SSE3212현대정치과정론(Contemporary Political Process)  

정치과정의 패러다임을 비롯하여 투입, 전환, 산출기능과 관련된 제도, 권력, 정당, 이익집단, 정책결정과 집행 등의 주요 접근법과 이론을 소개하는 데 있다.

 

 

  SSE3213행정학 입문(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  

행정의 개념, 정책 결정과 집행, 행정조직, 행정관리, 행정행태, 인사행정, 재무행정, 행정통제 및 관리 등에 대한 접근법과 이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SSE3214정치발전과 교육(Political Development and Education)  

정치교육은 정치적 인간을 형성하는 데 목적이 있음. 정치교육을 통하여 정치현상을 이해하고 정치적 태도를 형성하여 민주정치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자질 등을 탐색하는 데 있다.

 

 

  SSE3222경제교육과 국가경제(Economic Education and National Economy)  

국민소득 및 생산, 인플레이션, 실업, 통화금융정책 및 국제경제 등 거시경제와 관련된 제반 이슈를 살펴보고 한국경제가 직면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원인 및 해결 방안을 논의한다. 총수요와 총공급에 관련된 이론을 이해한 후 개방경제에서 통화금융 정책과 재정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다.

 

 

  SSE3223경제교육과 국제경제(Economic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conomy)  

국제경제 이론의 기초가 되는 비교우위, 특화 등의 개념을 살펴본 후 헥셔-올린이론을 비롯한 다양한 무역 이론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통한 보호무역의 영향을 파악하고 개방경제에서 경제성장의 원리를 이해한다. 국제수지와 환율의 분석을 통해 개방경제에서 거시 정책의 조정과정을 파악한다.

 

 

  SSE3243다문화교육의 이해(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미래의 예비 교사들에게 변화하는 학교 및 학급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문화적 역량을 키워줄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사회적 환경에서 초, 중등학생들이 올바른 삶을 개척하도록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대학 시절부터 다문화적 인식과 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강좌의 목표는 예비교사들이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다문화적 역량을 기르도록 하는데 있다.

 

 

  SSE3244대중문화와 미디어교육(Mass Culture and Media Education)  

본 교과목은 사회교육과 예비교사들에게 대중문화 현상의 비판적 이해와 미디어교육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 사회에 들어 미디어가 사회화 기관으로 간주되면서 미디어의 영향을 받는 대중들과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 민주시민 양성에 기여하는 사회과에서 미디어와 대중문화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요구된다.

 

 

  SSE3253법교육 이론과 사례(Theory and cases of Law-related Education)  

사회과교육에서의 시민교육으로서의 법교육의 의미를 이해한다. 법교육의 내용 요소를 학습하되 사회교과에 적용되는 방법과 교육 방법을 습득한다. 법교육의 발전과 역사, 실천 방법 등에 대해 이해한다. 강의와 조별 발표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SSE3254법과 인권교육 특강(Special Lecture of Law-related and Human Rights Education)  

법과 인권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논문을 리딩하며 논평한다. 법과 인권 교육에 관한 연구 결과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체득한다.

 

 

  SSE3262사회과 교육과정 및 수업론(Curriculum &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업과정안을 작성하며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SSE3331한국사회의 이해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한국 사회의 근대화에 대한 이해 (근대성, 유교적 전통, 결혼, 가족, 젠더 가치의 변화), 변화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주요 영역에 대한 이해 (종교, 교육, 직업과 계급), 국제이주와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한국 사회에 가지는 함의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자, 기러기 가족),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 등 현대 한국 사회의 주요 쟁점에 대해 학습한다.

 

 

  SSE3361공통사회 교재연구 및 지도법(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Study in Common Social Studie)  

공통사회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통합교육과정을 조직하는 방법을 이해하며, 지리교육과 역사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다.

 

 

  SSE3373세계지리(Understanding for World Geography)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국경의 의미가 사라지고 대룩간 통합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세계 각국의 발전전략도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세계 각국의 지지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1차적인 주안점을 두고 세계화시대의 도래에 다른 대응전략 등을 고찰한다.

 

 

  SSE3374한국지리(Understanding for Korean Geography)  

한국지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인 한반도의 위치, 지질, 지형과 해양, 기후 식생과 토양을 심도있게 공부해야 한다. 더불어 한반도의 무대위에 펼쳐지는 한국인의 생활의 중심이 되는 산업및 인구 취락(인구, 가옥과 촌락, 도시 등), 국토개발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HIS2202 고려시대사(Understanding History of Korean Culture)  

한국문화사를 이해함에 있어 비교적 중요하면서도 흥미롭다고 여겨지는 주제들을 택하여 우리 문화의 특질이 무엇인가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

 

 

  HIS3203 조선시대사(Understanding History of European Culture)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사의 주요 흐름을 살핀다. 서양사의 전반적인 이해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살핀다.

 

 

  SSE4164 사회과 논리 및 논술(Discourse in Social Studies)  

자료를 요약하고 논거를 비교하며,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능력을 기르기 위한 논술 문항의 조건을 파악하고, 실제로 논술 문항을 개발한다.

 

 

  SSE4224시장경제의 탐구와 연습(Study and Practice of Market Economy)  

시장경제와 관련된 내용을 직접 문항 형식으로 출제하여 발표하는 형태로 강의를 진행한다. 학생들은 2인 1조가 되어 문항을 개발하고 매주 수업 전에 교수와의 면담 및 토론을 통해 문항의 완성도를 높인다. 수업 시간에 발표 과정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해당 문항에 대한 질문, 토론이 병행되면 마지막에는 교수가 해당 주제에 대한 이론을 종합하여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도를 제고한다.

 

 

  SSE4232이주사회학 (Sociology of Migration )  

세계화와 더불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국제 이주, 이민 문제,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이슈와 관련된 이주 사회학의 기초 이론, 최신 이론, 그리고 이주/이민 사회학의 각 세부 영역 (이민자 집단과 주류 사회 간의 관계, 초국적 사회 공간, 결혼 이주, 이주자 자녀/청소년, 이주자 가족 관계, 이주자와 국가/시민권 등)을 학습한다.

 

 

  SSE4233가족과 노년 사회학(Sociology of Family and Ageing)  

결혼, 가족과 노년에 대한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학습하고, 현대 사회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돌봄’, ‘가족과 노동의 균형’, ‘이혼과 다양한 가족 유형’, ‘고령 사회에서의 세대 관계’, ‘노년의 사회 활동과 세대 관계’ 등에 대해 학습한다.

 

 

  SSE4311한국정치발전론(Theories of Political Development)  

정치발전론에서 제기하고 있는 다양한 접근법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한국 정치현상 분석에 적용하고, 한국정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SSE4313 국제 개발과 국제 협력 교육(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Education)  

신흥개발국과 개발도상국의 민주화, 평화, 분쟁, 발전 등 국제개발과 국제협력과 관련한 정치학 이론과 실제 사례에 대한 주제를 학습한다. 교육 ODA 지원을 포함한 국제협력의 역할과 기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SSE4321국가경제의 탐구와 연습(Study and Practice of National Economy)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과정을 시기별 및 분야별로 살펴봄으로써 국가경제 전체의 작동원리를 습득한다. 각 단원별로 핵심내용에 대해서 교수가 강의내용을 직접 전달하고, 그 다음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배운 단원에 실려 있는 연습문제들을 공부하여 교수가 지정한 문제들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SSE4322경제교육과 시장경제(Economic Education and Market Economy)  

우선 수요 및 공급곡선 분석을 통하여 시장경제에서의 가격 결정요인을 파악한 후 소비 이론과 생산 이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소비자 선택 이론에서는 무차별 곡선, 현시선호의 개념을 살펴본 후 불확실성하에서 선택의 문제를 분석한다. 생산자 이론에서는 완전경쟁, 독점적 경쟁, 독과점 및 독점기업들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정책을 살펴본다. 생산요소시장의 분석을 통하여 임금소득과 차별, 소득불평등과 빈곤 등 노동시장의 경제학을 파악함. 마지막으로 외부효과 등에 의한 시장 실패,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역선택 및 도덕적 해이를 분석하고 금융시장에 대한 이론을 소개한다.

 

  SSE4333 글로벌 이주와 동남아시아(Global Migration and Southeast Asia)

동남아시아 지역 역내외의 글로벌 이주에 대한 사회학적 쟁점과 동남아 지역학적 쟁점을 학습한다. 강의는 6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1) 글로벌 이주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이론적 개괄, 2) 동남아의 노동 이주, 3) 엘리트 이주자, 4) 이주자의 남겨진 가족, 5) 초국적 결혼이주자, 6) 서구의 동남아 이주자. 동남아시아 국가 혹은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이주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SSE4341지역문화의 탐구(Investigating Regional Culture)  

본교과목은 사회교육과 예비교사들에게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문화를 탐구할 수 있는 학문적 시각을 길러주기 위해 설계되었다. 특히 문회인류학적 현지조사를 모둠별로 실시하여 팀 빌딩 능력을 배양하고 물론 지역문화 이해를 통해 지역정체성 확보를 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SSE4342문화변동론(Culture Change Theoretics)  

문화는 결코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시간을 통해서 끊임없이 변하는 동태적인 것이다. 이처럼 문화의 내용이 변화하는 현상을 문화변동이라고 한다. 본 강의에서는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변동의 여러 요인들을 살펴보고, 각자의 생각을 발표하고 토론할 것이다.

 

 

  SSE4351사회문제와 법(Social Problems and Law)  

사회현상을 관찰하고 법교육 또는 법학의 기본개념들을 사회문제에 적용한다. 사회문제와 법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 강의와 학생들의 발표와 교육자료 제작 실습을 병행한다.

 

 

  SSE4352개인생활과 법(Personal life and Law)  

일상생활을 하면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법률관계(개인, 사회, 국가) 속에서 발생하는 법률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다. -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법문제들에 대한 법적 처리 방법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법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

 

 

  SSE4362시민교육론(Theories of Civic Education)  

시민과 국민의 개념을 비교하고 시민 역량으로서 비판적 사고와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참여의 공간적 스케일과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SSE4375지도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Map)  

지도의 발달, 독도법, 각종 통계지도 및 역사지도 제작 이론을 강의하고 지도 디자인을 실습한다.

 

 

  HIS2103 문화로보는역사(Introduction to East Asian History)  

중국 사회의 성격으로부터 해서, 정치, 경제, 사회, 사상, 종교 및 그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한 나라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다양한 측면들이 서로 긴밀하게 결부되어 전체로서의 역사가 전개되어 갔다는 것을 인식한다.

 

 

  HIS4304서구의충격과동아시아사(Understanding History of Eastern Culture)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중국을 중심으로 그 기원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개관한다. 특히 각 시대의 주요 담론이 무엇이었는지, 그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과 함께 검토해본다.

 

 

  HIS3403 서양근대사1  

 

 

 

  HIS3204한국근대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