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GSS-5102 정치학특강 (Political Science)   

정치학의 다양한 접근법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정치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있음. 

 

 

  GSS-5103 시장경제특강 (Seminars on Market Economy)  

일상의 경제 생활에 필요한 경제적 지식을 습득하고 시장경제의 균형, 시장구조, 소비자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 등을 일상생활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시장경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GSS-5104 사회학특강 (Special Topics in Sociology)  

사회구조와 사회변동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해당분야 논문 및 입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GSS-5105 문화학특강 (Special Topics in Culture Anthropology)  

문화에 관한 이론 전반을 연구한다. 특히 문화인류학, 문화사회학, 문화경제학, 문화기호학, 문화연구, 문화비평, 문화교육학의 개념과 방향을 이해한다.

 

 

  GSS-5106 법률개론 (Outline of Law )  

법률학에 대한 전반적인 개관을 한다. 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헌법, 민법, 형법, 소송법 등의 법률학의 제반분야에 대한 윤곽을 파악하게 하는 과목이다. 법교육과 내용적으로 관련성이 높다.

 

 

  GSS-5107 민주정치론 (Theories of Democratic Politics)  

민주주의의 발전과정, 이론, 원리, 민주정치제도 등을 소개하여 국민의 의한 정치를 정착시킬 수 있는 참여능력을 향상시키고 민주시민상을 정립하며 민주리더십을 기르는 데 있음.

 

 

  GSS-5108 국가경제특강 (Seminars on National Economy)  

국가경제와 관련된 제반 이슈들을 일상생활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시장경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GSS-5109 사회과학방법론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사회과학의 다양한 학문적 접근방법을 이해하고 각 방법들이 지닌 특성과 적용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사회과학연구 활동의 지침을 제공한다.

 

 

  GSS-5110 문화시민과 윤리 (Cultural Citizens and Ethics)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문화시민의 자질을 윤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관찰함으로써 한 사회규범과 가치체계를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구성원들에 대한 삶의 방식을 존중하는 상대론적 시각을 함양한다.

 

 

  GSS-5111 헌법 (Constitutional Law)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와 의무, 국가 최고권력기관의 구성과 작용원리 등을 학습함으로써 국민으로서 공적인 생활에서 부딪히게 되는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이 과목의 목적이 있다. 정치관련 과목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GSS-5201 사회과교육론 (Theories in Teaching of Social Studies)  

사회과교육의 성격, 목표, 역사,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학습이론, 평가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GSS-5202 사회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Materials and Methode in Teaching Social Studies)  

사회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과 내용의 재구성, 교재 및 학습자의 선개념 분석을 기초로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에 필요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GSS-5203 사회과 논리 및 논술(Discourse in Social Studies)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나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하여 논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자신의 주장을 합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GSS-5301 정치사상의 이해 (Understanding of Political Thought)  

근대 및 현대의 주요 정치사상의 기원, 특징, 내용 등을 소개하여 정치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GSS-5302 경제교육과 시장경제 (Economic Education and National Economy)   

시장경제의 특징과 각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시장경제의 작동원리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중등 경제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를 다진다.

 

 

  GSS-5303 사회문제연구 (Studies in Social Problem)  

현대사회에서 발생되는 각종 사회문제의 이론적 접근 및 제사회문제의 원인, 실태, 해결책을 분석 검토한다. 특히 인구문제, 환경문제, 교육문제, 도시문제 등을 다룬다.

 

 

  GSS-5304 문화인류학 (Cultural Anthropology)  

문화인류학의 학문적 형성 배경을 비롯하여 문화인류학적 연구방법론과 사례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준다. 

 

 

  GSS-5305 사회문제와 법 (Social problems and law)  

이미 배운 법률지식을 활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하는 과목으로서 법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고, 법교육에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본다. 사례는 언론에 보도된 사건일 수도 있도 판례에서 다룬 사건일 수도 있다. 

 

 

  GSS-5306 국제관계론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국가와 국가 간의 공식적인 관계는 물론 비정부차원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론과 접근법을 소개하는데 있음.

 

 

  GSS-5307 제교육과 국가경제 (Economic Education and National Economy)  

국민소득, 생산, 실업, 인플레이션 등 국가경제와 관련된 제반 이슈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경제 정책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중등 경제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를 다진다.

 

 

  GSS-5308 한국사회연구 (Studies on Korean Society)  

한국사회의 중요쟁점을 사회학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전통과 변동의 시각에서 한국사회의 발전모델을 탐색한다.

 

 

  GSS-5309 한국문화론 (Korean Culture)  

한국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의식주, 신앙, 종교, 예술, 놀이, 세시풍속, 민담 등을 다룬다.

 

 

  GSS-5310 민사법 (Private Law)  

개인과 개인간의 대등한 법률관계를 다룬다. 사적자치와 계약의 자유를 이해하고 권리주체, 권리객체, 법률행위 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계약, 불법행위, 부당이득을 다른다. 법분야 중에서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법과목이다. 

 

 

  GSS-5311 문화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ology for Culture Education)  

사회과의 문화교육적 요소를 도출하고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과 교수 학습 

방법론을 연구한다.

 

 

  GSS-5312 사회과수업론특강 (Topic in Instruction of Social Studies)   

사회과 수업을 실행하고 관찰 및 반성적 평가를 통하여 사회과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GSS-5313 사회과평가특강 (Topic in Curriculum &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사회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에 맞는 평가를 설계하고 사회과 학습 결과를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학생들의 평가결과를 분석ㆍ해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GSS-5401 연구Ⅰ (Research Ⅰ)  

연구논문 작성을 위한 첫 번째 학기 연구

 

 

  GSS-5402 연구 Ⅱ (Research Ⅱ)  

연구논문 작성을 위한 두 번째 학기 연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