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교육목표

① 다문화가정과 자녀들의 사회적 통합교육과 학교적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자질 함양

②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연구 능력과 교수능력 배양

③ 다문화가정 환경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당 자녀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능력 배양

 

 

 

■ 교육과정

GMU-5102 다문화교육 연구방법론 입문(Introduction to Research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현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필요로 하는 논의와 구체적인 접근 방식들을 다룬다. 연구방법론의 철학, 절차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연구기법을 사례중심으로 조사한다.

 

 

GMU-5103 다문화교육과정연구(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학교의 교육과정은 인종, 계층, 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교 울타리 안에 거주하는 모든 학생에게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인종과 계층이 공존하는 현대의 다문화사회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연구한다.

 

 

GMU-5104 다문화교육론(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의 기초를 확립하는 강좌로서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개관을 제공한다.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쟁점을 검토하면서, 다문화 교육의 목표, 교육과정 개혁, 교수법, 학교개혁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GMU-5201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고, 실제현상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이론화를 추구한다.

 

 

GMU-5202 다문화교육 콜로키움(Colloquium in Multicultural Education)

전반적인 다문화교육학의 학문적 이해와 실천에 대해 토론하고,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확립한다.

 

 

GMU-5204 문화간 의사소통 교육론(Education Theory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문화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파악하고 문화간 의사소통 교육방안을 탐색한다.

 

 

GMU-5205 다문화교육과 학교교육(Multicultural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다문화가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다문화시대에 맞는 학교교육의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탐구한다.

 

 

GMU-5208 다문화교육철학(Multicultural Education Philosophy)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내에 담겨있는 교육철학을 분석하고, 인문주의적 교육철학과 다문화교육의 관계성을 토의하고 연구한다.

 

 

GMU-5209 한국문화교육론(Teaching Methodology of Korean Culture)

다문화교육기관 관계자들에게 한국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실제 한국 문화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론을 제공한다.

 

 

GMU-5210 다문화가정아동발달 및 지도론(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교사가 다문화가정자녀의 생활을 상담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발달과정상의 특징과 심리에 대한 이해에 필요한 지식을 다룬다.

 

 

GMU-5211 다문화정책분석실습(Practise of Analysing Multicultural Policy)

본 교과에서는 다문화정책의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다문화정책의 변화 흐름을 전망하고 다문화정책에 영향을 주는 환경들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터득한다.

 

 

GMU-5212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세계 각 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다문화교육의 흐름과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고 토론해 본다.

 

 

GMU-5213 다문화사회의 시민교육(Citizenship Edu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성, 인종, 계층, 종교, 민족, 언어 등 다양하게 구성된 다문화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권 및 시민성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에서 이주민의 법적 지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민교육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GMU-5214 다문화사회의 경제교육 (Economy Edu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경제문제들에 대한 이슈들을 분석하고, 다문화 경제이론적 분석능력을 습득한다.

 

 

GMU-5215 이민정책 법제론 (Legislation Theory of Immigration Policy)

이민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민정책결정과정의 이해관계자에 대한 이해 및 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과정을 학습한다.

 

 

GMU-5216 다문화관련법 (Multicultural Law)

본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다문화와 관련된 법률을 공부하며, 법이 한국의 다문화가정과 외국인 노동자들의 실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GMU-5217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International Immigration & Labor Policy)

국제이주의 발생원인 등 이민의 기제와 정착과정, 이민에 따른 국가와 이주민의 정체성, 공동체의 특성을 학습하고 세계 각국의 이주민 권리보호와 증진을 위한 제반 제도를 이해한다.

 

 

GMU-5218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이해(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이주의 초국가적 이해를 통해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형되고 있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탐구하고, 다양한 배경의 이민자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GMU-5219 이민․다문화 가족복지론(Immigrant․Multicultural Family Welfare Theory)

한국의 다문화가족 정주 실태와 다문화가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녀 양육․교육․건강 및 경제 문제를 이해하고 한국의 다문화가족복지 제도 및 정책 현황을 이해한다.

 

 

GMU-5220 이민 2세대 교육사회학 (Sociology of Education on the Second Generation Immigrants)

본 강의는 이민 1.5세대와 2세대에 대한 교육사회학 개념, 이론, 사례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이민 자녀세대의 교육 문제에 대해 탐구한다. 미국, 유럽, 호주 등 전통적인 이민국가에서의 이민 2세대의 이중언어 사용, 교육, 계급 재생산, 공동체 수준의 교육 경험과 정체성 형성 등에 대한 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과 아시아 국가 등 신흥 이주국가에서의 이민자 집단의 교육 문제와 사회 통합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함의를 모색한다.

 

 

GMU-5222 다문화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Sociological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Families)

본 강의는 결혼 이주와 기타 이주 방식을 통해 형성된 다문화 가족에 대한 사회학과 이주학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주·이민 1세대 뿐만 아니라 1.5세대와 2세대에 대한 가족 이론과 이민 이론을 검토한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이주 이민자 세대와 그 직·방계 가족 간의 가족 관계, 세대 관계, 생애 주기적 관점의 연구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족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공고히 하고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한다.

 

 

GMU-5223 문화기술지 연구방법(Research Method of Ethnography)

문화기술지는 전통적인 질적연구방법론 중 하나로 문화인류학적 필드 웍 결과로 만들어지는 보고서이다. 다문화사회에서 민족, 문화, 종교, 언어 등은 문화인류학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된다. 문화기술지는 이런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탐구하여 기록한 것이다. 본 교과에서는 문회기술지 작성을 위한 참여관찰, 현지조사 방법 등을 다룬다.

 

 

GMU-5224 다문화사회와 지역변화(Multicultural Society & Regional Change)

다문화사회에서의 지역변화를 이해한다.

유럽과 북미 여러 지역의 다문화적 공간 특징을 조사한다.

제3세계 지역의 다문화적 공간 특징을 선진국과 비교한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적 공간 변화를 조사한다.

 

 

GMU-5225 다문화교육센터 프로그램연구(Program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한국사회는 결혼이주여성이 많아짐에 따라 다문화가정자녀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법무부와 여성부 산하의 각종 센터들이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강의에서는 이들 기관들이 기획하고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분석하고, 장․단점을 파악하여 이들의 실정에 걸맞은 프로그램을 논의하고 계획하고자 한다.

 

 

GMU-5227 다문화가족의 상담과 실제(Counseling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Family)

상담을 통해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파악하여 다문화가정의 삶의 만족도와 질을 높이도록 한다. 각 사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상담이론을 접목하여 상담가로서의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수업이다.

 

 

GMU-5228 다문화교육현장사례연구(Field Research of Methodolog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현장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의 현실을 이해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GMU-5229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Teaching Methodology in Multicultural Societies)

다문화교육관련 교수학습을 연구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심도있게 논의하고 연구한다.

 

 

GMU-5230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International Immigration & Labor Policy)

국제이주의 발생원인 등 이민의 기제와 정착과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민에 따른 국가와 이주민의 정체성, 공동체의 특성을 학습하고 세계 각국의 이주민 권리보호와 증진을 위한 제반 제도를 이해한다. 외국인근로자, 전문인력 등의 우리나라 노동시장 유입기제와 문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주가 노동시장, 산업정책 등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GMU-5231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이해(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이주의 초국가적 이해를 통해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형되고 있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탐구하고, 다양한 배경의 이민자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GMU-5232 이민·다문화 가족복지론 (Immigrant·Multicultural Family Welfare Theory)

이민 이론, 가족 이론, 복지 이론 등을 통해 이민자와 다문화 가족의 가족 문제와 가족 복지 관련 주요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한국 사회에서의 이민·다문화 가족의 복지 문제의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주요 이민국가와 한국의 다문화가족 정주 실태와 다문화가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녀 양육·교육·건강·부모 부양·노동 및 경제 문제를 이해하고 한국의 다문화가족복지 제도 및 정책 현황을 탐구한다. 이민자 가족의 특수한 상황과 정서를 고려한 이론을 학습하고 사례를 연구한다.

 

 

GMU-5233 이민 및 다문화 현장 실습(Field Practice on Migr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사회 전문가 역할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전문인력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현장 및 실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사회통합 프로그램 운영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강의 등에 참여함으로써 지역 현실에 밀착한 이민 다문화사회의 현장을 이해하고 다문화사회통합의 실제를 이해한다.

 

 

GMU-5234 이민정책론(Migration Policy Studies)

이민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과 발전과정 그리고 평가 등에 대해 공부한다. 한국 뿐 아니라 국제적 차원에서 전개되는 거대한 규모의 이민현상이 가져오는 영향에 대응하는 이민정책의 제 양상을 실용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책 자체에 함몰되기보다, 이민 현상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우선하고, 다양한 정책 수단을 고찰한다.

 

 

GMU-5235 이민법제론(The Legislative System of Immigration)

본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이민 관련 법률인 『재한외국인처우 기본법』, 『출입국관리법』, 『국적법』,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지위에 관한 법률』,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다문화가족지원법』,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 『난민법』과 외국인노동자, 이주여성, 이주아동등과 관련된 국제 협약 등 우리나라 이민관련 법제를 학습하고, 비교법적 시각에서 세계 주요 이민국가 이민법의 역사적 배경과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GMU-5401 연구Ⅰ (ResearchⅠ)

연구논문 작성을 위한 첫 번째 학기 연구

 

 

GMU-5402 연구Ⅱ (ResearchⅡ)

연구논문 작성을 위한 두 번째 학기 연구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