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영순 ( 金永洵 / Kim, Youngsoon )
 

 

소속 : 사회교육과

E-Mail  : kimysoon@inha.ac.kr

연구실 전화 : 032-860-7867

직급 : 교수

연구실명 : 서호관217호

세부전공 : 문화교육, 다문화교육정책

 

 

 

 

 

 

 

l 학력 l

 

-베를린 자유대학교 (문화학 박사, 문화변동 전공), 2000.01.

-베를린 공대 (미디어교육 석사), 1997.07.

-중앙대학교 (문학 석사), 1999.02.

-중앙대학교 유럽어문학부 졸업, 1987.08.

 

 

l 주요경력 l

 

-독일 베를린한인학교 부장교사 (1997 – 1998)

-베를린공대 세계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1997 – 1999)

-조선대학교 연구교수 (2000 – 2001)

-교육인적자원부(경북대학 중등교육연구소) 연구위원 (2001 – 2003)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학과장 역임 (2004 – 현재)

-EBS 무릅학교 사회교실 진행자 (2005 – 2006)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자문위원 (2005 – 현재)

-인천에듀테인먼트포럼 위원장 (2006 – 2010)

-법무부 한국사회이해 프로그램 연구책임자 (2007 – 2008)

-캐나다 브리티쉬컬럼비아대 아시아연구센터 연구초빙교수 (2008-2009)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교육 영역 창의인성연구팀 연구책임자 (2010 – 현재)

-창의인성 100대 학교 전문가심사 위원장 (2010 – 2011)

-한국연구재단 융복합사업단 비상근 전문위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부회장, 인하대학교

-대학원 부원장, 한국과학창의재단 대학생 교육기부단 자문교수 (2012 – 현재)

 

 

 

 

김영순 교수는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에서 문회인류학 및 문화교육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문화인류학자이자 민속학자이다. 학부에서는 ‘다문화사회의 시민교육’, ‘문화인류학’, ‘지역문화의 탐구’ 등의 과목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원과 교육대학원(사회교육 전공 및 다문화교육 전공)에서는 ‘다문화학과 문화인류학’, ‘다문화교육 융합연구 방법론’, ‘다문화교육과정연구’, ‘다문화교육론’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지역문화연구 및 다문화교육 정책이다. 교과부 개정 교과 교육과정 TF위원장, 사회과 창의인성 교수학습모형 개발 책임자, 교과부 범부처범교과체험교육사업단 단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교과부 창의경영학교 수석컨설턴트, 인하대학교 인천다문화교육센터 소장, BK 21 Plus 글로컬 다문화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단의 사업단장과 ‘다문화교육정책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다문화교육융합연구사업단장직을 맡고 있다.

 

 

 

l 주요수상 l

 

-한국정부 (교육부) 국비유학장학생

-2012학년도 제 13회 우수연구상 수상 : 학술연구상-학술논문 발표수부문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사회과학분야 우수학술도서 선정 -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북코리아)」

-201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북코리아)」

 

 

 

l 주요현장연구 l

 

-경기 부천지역 마을 연구(2004~2005)

-서울 구로지역 마을 연구(2005~2007)

-베트남 사파지역 문화다양성 연구(2007~현재)

-인천 검단지역 마을연구(2007~2009)

-인천 연수구 옥골 마을연구(2009~현재)

-중국 운남성 일대 차마고도 문화 연구(2012~2013)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문화 연구(2013~현재)

 

 

 

l 주요저서 l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책임저자(교학사)

-중학교 사회교과서 책임저자(두산동아)

-고등학교 문화콘텐츠마케팅(에듀멘토르)

-초등학교 신문활용교육의 실제(한국문화사)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북코리아)

-미디어와 문화교육(한국문화사)

-신체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커뮤니케이션북스)

-지역문화 콘텐츠와 스토리텔링(북코리아)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북코리아)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북코리아) 외 다수

 

 

 

l 주요역서 l

 

-다문화교육과 인간관계(교육과학사)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교육과학사)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북코리아)

 

 

 

 

l 학위논문 l

 

- 기능 범주와 담화 변인 , 2000

 

 

 

l 주요논문 l

 

- 도보여행자의 진지한 여가 체험에 관한 연구: 인천둘레길 여행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1권 3호, 19~42, 2014.

 

 

- 제주 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다문화 정책 실태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  239~271, 2013.

 

 

-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대안학교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교육과학연구, 44권 3호, 241~269, 2013.

 

 

- 결혼이주여성 가정의 부부간 협력적 의사소통에 나타난 사회적 상호작용 연구

   언어와 문화, 9권 2호, 73~100, 2013.

 

 

- 초등학교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초등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권 2호, 103~126, 2013.

 

 

- 문화예술 체험활동 ‘국경없는마을 RPG’ 참여 고등학생의 다문화경험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8권 2호, 55~77, 2013.

 

 

- 케이팝(K-pop)을 통한 성인 여성의 다문화시민성 함양에 관한 경험 연구

    사회과교육, 52권 2호, 29~44, 2013.

 

 

- 외국인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한국인 교수자의 다문화 감수성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 461~488, 2013.

 

 

-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부모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1권 2호, 331~356, 2013.

 

 

- 교육기부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다문화시민성 함양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40권 1호, 81~108, 2013.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분석

   중등교육연구, 61권 1호, 83~109, 2013.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여가인지력 개선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개발

   여가학연구, 10권 3호, 1~22, 2013.

 

 

-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 중심 재사회화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언어와 문화, 8권 3호, 37~63, 2012.

 

 

- 생산직 이주근로자 고용 한국 회사내 한국인 근로자의 다문화 감수성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18권 4호, 139~162, 2012.

 

 

- 미술과 교육과정분석을 통한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연구

 

 

-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26권 2호, 331~358, 2012.

 

 

-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 -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

   중등교육연구, 60권 2호, 585~614, 2012.

 

 

- 청소년체험활동자원을 활용한 교외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교육문화연구, 18권 2호, 165~195, 2012.

 

 

- 다문화가정자녀 멘토링 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의 수퍼비젼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33, 453~476, 2012.

 

 

-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을 위한 청소년 체험활동자원 운영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7권 2호, 93~114, 2012.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0권 2호, 285~304, 2012.

 

 

- 한국의 바둑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문화경영 전략연구

   문화교류연구, 1권 1호, 44~65,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자기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표현교육 사례 연구

   비교문화연구, 25, 695~721, 2011.

 

 

-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 계열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6권 4호, 87~110, 2011.

 

 

- 사회적기업가 아카데미 일반과정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 333~361, 2011.

 

 

- 사회·문화 교과서 텍스트의 사이버 문화 계열성에 관한 연구

   언어와 문화, 7권 2호, 81~102, 2011.

 

 

-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적정화 연구

 

 

- 7∼10학년 일반사회과를 중심으로 -

   중등교육연구, 59권 2호, 185~209, 2011.

 

 

- 학교 지역문화교육을 위한 지역협의체 구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6권 2호, 37~62, 2011.

 

 

-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연구

 

 

- 농어촌 체험 및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

   교육문화연구, 17권 1호, 195~223, 2011.

 

 

- 전통문화산업 현장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부천 공방거리를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11권 1호, 167~187, 2011.

 

 

- 디지털 마을지 제작 과정에 관한 연구 -인천 서구 검단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6권 3호, 19~41, 2010.

 

 

-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검단과 춘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 35~59, 2010.

 

 

- 다문화 미디어교육을 위한 기호학적 교수 모형: 애니메이션 <라따뚜이>를 중심으로

   미디어교육연구,53~86, 2010.

 

 

- 한국인의 스킨십 행위에 관한 문화 소통적 기술

    교육문화연구, 16권 2호, 337~364, 2010.

 

 

- 고등학교 7차 사회문화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문화교육 내용 분석

    중등교육연구, 58권 2호, 1~23, 2010.

 

 

- 한국바둑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브랜드화 조사연구

   문화산업연구, 10권 1호, 125~146, 2010.

 

 

- 다문화교육사의 실천적 역량과 기능에 관한 연구

   다문화교육, 1권 1호, 77~94, 2010.

 

 

- ‘국경 없는 마을 다문화 축제’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 , 293~313, 2010.

 

 

- 다문화시민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문화교육 방안

   언어와 문화, 6권 1호, 27~46, 2010.

 

 

- 지역문화교육을 위한 지명유래 전설의 스토리텔링 사례연구

 

 

-인천 검단 여래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5권 1호, 149~169, 2010.

 

 

- 향토문화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서구 검단의 황곡마을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 327~343, 2010.

 

 

- 다문화사회와 시민교육: '다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시민인문학, 18, 33~59, 2010.

 

 

- 이민자 통합을 위한 문화 정책의 기본 방향 연구: 강화군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의 FGI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 45~68, 2010.

 

 

- 부천 판타스틱 스튜디오의 텍스트성 분석: 의도성과 용인성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 297~317, 2009.

 

 

-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사이버문화에 관한 내용 분석

   교육문화연구, 15권 2호, 207~228, 2009.

 

 

- 수변 여가공간으로서의 월미공원 활성화 방안: 여가 공간의 이용실태 및 인식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9권 2호, 165~180, 2009.

 

 

- 사회적 소외계층의 미디어교육 운영 실태 연구 : 기관 운영진 FGI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7권 2호, 85~107, 2009.

 

 

-매체언어 사용자로서 장애인의 미디어교육 개선 방안 연구 ― 교수자 및 학습자 FGI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 133~162, 2009.

 

 

- 한국 슬로시티들의 정책 추진에 관한 내용 분석

   여가학연구, 7권 1호, 27~51, 2009.

 

 

- 강화문화원과 남동문화원의 문화사업 내용분석

   인문콘텐츠, , 175~200, 2009.

 

 

- 도시와 생태공간의 어울림: 인천 논현지구의 퍼스기호학적 해석

  기호학연구, 25, 489~514, 2009.

 

 

- 영상뉴미디어 교육과정과 자격제도에 관한 인식 연구 : 미디어특성화고 교사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3권 2호, 9~50, 2009.

 

 

- 한국 전통 장례에 대한 레비-스트로스 기호학적 분석* - ‘변칙 범주’ 개념을 중심으로 -

   기호학연구, 24, 115~140, 2008.

 

 

-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 ‘부천’의 텍스트성 분석 ― ‘둘리의 거리’와 ‘한국만화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119~146, 2008.

 

 

-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질적 분석: '사회문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4권 2호, 57~80, 2008.

 

 

-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텍스트언어학, 24권 0호, 167~192, 2008.

 

 

- 영화 <기담>에 나타난 '에로스'의 텍스트기호학적 분석

   기호학연구, 23, 121~141, 2008.

 

 

- 텍스트로서 ‘춘천’의 공간 스토리텔링 전략- 여가도시로의 의미화를 중심으로 -

   언어과학연구, , 233~256, 2008.

 

 

- 문화교육과 이미지 리터러시 상관관계 연구

   언어와 문화, 3-3, 1~19, 2007.

 

 

- 독일 대학평가의 방법론 연구: '슈피겔'지와 '독일대학센터'의 조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3-2, 81~110, 2007.

 

 

- 의사소통 연구의 두 가지 논점: 인지 vs. 기호

   언어과학연구, , 201~219, 2007.

 

 

- 참여정부 '문화비전'에 나타난 여가정책에 관한 연구

   여가학연구, 5-1, 31~46, 2007.

 

 

- 텍스트 융합과 텍스트 전환

   텍스트언어학, 22, 99~119, 2007.

 

 

- 광고 리터러시를 위한 기호학적 방법론

   기호학연구, 21권 1호, 359~385, 2007.

 

 

-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은율탈춤' 스토리텔링 교수법

   언어와 문화, 3-1, 25~48, 2007.

 

 

- 영상 읽기를 위한 키네씩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영화 <괴물>의 비언어 기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 185~216, 2007.

 

 

- 코드 변동의 문화적 의미와 설명 - ‘제 3의 코드’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15권 1호, 205~226, 2007.

 

 

- 인문학의 혁신으로서 문화학적 전환- 독일의 ‘문화학 세우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 57~80, 2006.

 

 

- 지역문화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 127~148, 2006.

 

 

- 문화예술 텍스트의 구조 분석 기제

   언어와 문화, 2-2, 161~183, 2006.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문화 교육방안 연구

   인문콘텐츠, , 7~22, 2006.

 

 

- 여성잡지 텍스트에 나타난 여성 몸의 기술 양상과 구조적 메커니즘

   텍스트언어학, 20, 24~45, 2006.

 

 

- 텍스트로서 공간 ‘대형마트’의 기호학적 읽기

    기호학연구, 19권 1호, 71~98, 2006.

 

 

- 기술매체의 의미와 구조적 특성

   독일어문학, 14권 2호, 165~183, 2006.

 

 

- 사회·문화 교과서의 텍스트 이미지 상관관계

   중등교육연구, 54권 1호, 253~274, 2006.

 

 

- 신체 특성과 신체 접촉의 기호화용론적 구조- 봉산탈춤의 노장과장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209~234, 2006.

 

 

- 급진적 구성주의의 이해 모델에 관한 인지적 해석

   언어과학연구, 19~36, 2006.

 

 

-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프로세스의 기호학적 전략

   정보과학회지, 24-2, 15~26, 2006.

 

 

- 학교미디어교육을 위한 기호학적 틀짜기: 광고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영상문화, 10, 1~21, 2005.

 

 

- 대중문화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의 비판적 기술: 패러디의 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27, 351~371, 2005.

 

 

- 미디어문화 콘텐츠 분석을 위한 텍스트학의 응용 가능성: 텍스트 유형론에 근거한 광고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독어학, 11, 163~186, 2005.

 

 

-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중등교육연구, 53-1, 165~188, 2005.

 

 

- 봉산탈춤 노장과장에 나타난 비언어적 의사소통 연구

   언어와 문화, 1-2, 63~80, 2005.

 

 

- 7차 「사회·문화 」교과서의 문화교육 내용 분석

   중등교육연구, 243~263, 2004.

 

 

- 인문학 기반 문화콘텐츠학과 교과과정 검토

   인하교육연구, 10, 61~84, 2004.

 

 

- 독일 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천과 교육

  중등교육연구, 52-1, 277~304, 2004.

 

 

- 독일 동화 '헨젤과 그레텔'의 웹 활용 수업 방안

   언어과학연구, 27, 339~364, 2003.

 

 

- 언어.문화교육을 위한 독일 민담 텍스트 활용 방안

    독어학, 8, 247~272, 2003.

 

 

- 직접비교광고와 비비교광고 효과 차이

   한국광고학보, 5-2, 116~145, 2003.

 

 

- 독일 광고 텍스트의 손짓 기호 읽기

   텍스트언어학, 14, 219~242, 2003.

 

 

- 손짓 언어의 기호화용론

   언어과학연구, 24, 41~60, 2003.

 

 

- 몸 기호 갈등을 통한 영화 텍스트 읽기: <공공의 적>에서 나타난 기호학적 이분법

    기호학연구, 12, 110~144, 2002.

 

 

- 몸짓 의사소통적 한국어교수법

   이중언어학, 20, 1~24, 2002.

 

 

- 비언어적 외설의 의사소통적 가치

   독어학, 5, 335~358, 2002.

 

 

- 영상 광고의 텍스트성과 구성 원리

   텍스트언어학, 11, 42~62, 2002.

 

 

- 어순 변이에 대한 담화 기능적 해석 

   현대문법연구,24, 137~160, 2001.

 

 

- 담화 매체의 기호체계에 대하여

   독일어문학, 11, 447~467, 2000.

 

 

 

 

 

 

l 주요학술저서 l

 

- 영상미디어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사회과 창의 인성 수업 설계와 실제, 북코리아, 2013.

 

-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 북코리아, 2013.

 

- 스토리텔링의 사회문화적 확장과 변용, 북코리아, 2011.

 

- 지역문화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검단의 기억과 이야기, 북코리아, 2011.

 

- 스포츠와 문화, 책과세계, 2010.

 

-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북코리아, 2010.

 

-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이해, 북코리아, 2010.

 

- 초등학교 신문활용교육의 실제, 한국문화사, 2010.

 

- (도시발전의 핵심코드를 찾아보는) 새로운 도시, 새로운 仁川, 인천발전연구원, 2010.

 

- 다문화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 문화의 맛과 멋을 만나다, 한올출판사, 2008.

 

- 학제간 연구를 통한 문학의 확장 가능성 탐구, 글누림, 2008.

 

- 현대 여가연구의 이슈들, 한올출판사, 2008.

 

-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 학지사, 2008.

 

- 문화산업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한국문화사, 2008.

 

- 문화학으로의 여행, 세종출판사, 2007.

 

- 몸짓 기호와 손짓 언어: 교사-학생간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한국문화사, 2007.

 

- 방송광고와 광고비평, 나남출판, 2006.

 

- 문화경영의 33가지 핵심코드, 한국문화사, 2006.

 

- 텍스트와 문화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 여가와 문화: 여가 연구의 문화 코드, 역락, 2006.

 

- 미디어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미디어교육과 교수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 미디어와 문화교육: 미디어 읽기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5.

 

- 패러디와 문화, 한양대 출판부, 2005.

 

- 겨울연가: 콘텐츠와 콘텍스트 사이, 다할미디어, 2005.

 

- 문화와 인간: 불을 찾아서, 문화를 찾아서, 인하대 출판부, 2005.

 

-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할미디어, 2005.

 

- 문화이론과 문화콘텐츠의 실제, 인하대 출판부, 2005.

 

- 공간과 도시의 의미들, 소명출판, 2004.

 

- 문화와 기호: 문화기호학의 이념과 실천,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4.

 

- 축제와 문화: 축제의 문화교육학을 위하여,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4.

 

- 문화, 미디어로 소통하기, 논형출판사, 2004.

 

- 양방향 쌍방향의 문화,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4.

 

- 미디어교육과 사귐, 연극과인간, 2004.

 

- 광고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 연극과인간, 2004.

 

- 광고비평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4.

 

- 지식의 사회 문화의 시대, 경북대출판부, 2004.

 

-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문학과경계사, 2003.

 

- 몸과 몸짓 문화의 리얼리티 , 소명출판, 2003.

 

- 기호학과 철학 그리고 예술, 소명출판, 2002.

 

- 기호학으로 세상 읽기, 소명출판, 2002.

 

- 한국어와 독일어의 비교통사론 이해, 한국문화사, 2001.

 

- 신체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INHA

UNIVERSITY

연구 및 기타내용

You can also request more information with this form:

Your details were sent successfully!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