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선미 ( 朴善美 / Sunmee Park )
소속 : 사회교육과
E-Mail : sminha@inha.ac.kr
연구실 전화 : 032-860-7864
직급 : 교수
연구실명 : 서호관 218호
세부전공 : 사회과교육과정 및 평가, 지리교육, 다문화교육
l 학력 l
- 고려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박사(지리교육 전공), 1999. 8.
- 고려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석사(도시지리 전공), 1992. 2.
-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1989. 2.
l 주요경력 l
- 교수,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2014. 3 - 현재
- 부교수,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2009. 3 - 2014. 2
- 조교수,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2005. 3 - 2009. 2.
- 연구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1 - 2005. 2.
-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2002. 9 - 2003. 8
-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Indiana University in Bloomington, January 2000 - january 2001.
l 주요수상경력 l
- 우수강의상, 인하대학교 2012.
- 우수연구과제상, 인문사회연구회, 2003. 5.
- 우수연구과제상, 인문사회연구회, 2002. 5.
- 환경부장관상, 환경부, 2001. 5.
l 주요 봉사경력 l
- 학과장,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2013. 8. -현재
- 사회과교육과정 심의위원, 교육부, 2002. 3. - 현재
- 편집위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5. - 현재
- 편집위원,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8. - 현재
- 편집위원, 중등교육연구, 2013. 8. - 현재
- 부회장,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8. - 현재
- 부학장,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2009. 8. -2011. 7.
- 교육연수원부원장, 인하대학교, 2009. 8. - 2011. 7.
- 편집위원장, 한국환경지리교육학회, 2010. 4. - 2012. 4.
- 편집부장, 한국도시지리학회, 2006. 9. - 2008. 8.
- 총무이사, 대한지리학회, 2007. 9. - 2009. 8.
- 부회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9. -2005. 8.
박선미 교수는 사회교육과에서 교과교육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과 평가론 전문가이다. 학부 전공과목 중 ‘사회과교육론’, ‘일반사회교재연구 및 지도법’, ‘사회과평가론’, 교양과목 중 ‘부와 빈곤의 글로벌 지도’, ‘지리와 여행’ 등의 과목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원과 교육대학원(사회교육 전공 및 다문화교육 전공)에서는 ‘사회교육연구방법’, ‘다문화사회 교수방법론’, 지형과 기후로 읽는 세계문화’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과교육과정’, ‘사회과평가’, ‘비판적 다문화교육’이다.
l 주요논문 l
-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분포의 특성과 영향 요인-경기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권 3호, 71~85, 2013.
- 지구적 문제에 관한 실천적 참여의 의미와 교육 방향 검토
- 공정무역에의 윤리적 소비자 참여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권 2호, 69~85, 2013.
- 텍스트와 그림 자료 제시 방식에 따른 지리 학습의 효과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권 3호, 19~32, 2012.
-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빈도와 이미지 분석 -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중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
사회과교육, 51권 4호, 77~92, 2012.
- 블록타임제에 따른 수업 변화 : 고등학교 사회과·과학과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0권 3호, 193~219, 2012.
- 다문화 역량 구성 요소 중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에 대한 소고
다문화교육, 3권 1호, 47~67, 2012.
- 교과교실제 도입으로 인한 사회과 교실환경과 수업의 변화
사회과교육, 50권 4호, 43~62, 2011.
-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적 인식에 미친 영향 - 인천시 다문화교육 지정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사회과교육, 50권 3호, 1~15, 2011.
-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권 2호, 209~224, 2011.
-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독도연구저널, 13, 26~35, 2011.
-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권 3호, 251~267, 2010.
- 예비교사교육 방법으로서 '행위 중 반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과교육, 49권 3호, 39~52, 2010.
-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방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권 1호, 23~36, 2010.
-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국가별 스테레오타입
사회과교육, 48권 4호, 19~34, 2009.
- 독도교육의 방향: 민족주의로부터 시민적 애국주의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권 2호, 163~176, 2009.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교급별 도해력 발달수준 분석-2005~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4권 3호, 410~427, 2009.
- 외국어 고등학생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사회과 학습 능력의 차이 분석
교육문화연구, 14권 1호, 135~161, 2008.
- 모형중심의 사회과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비판
교육문화연구, 13-2, 159~182, 2007.
- 인천의 장소 만들기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권 3호, 13~25, 2007.
- 교원자격검정 표시과목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 설정
대한지리학회지, 42권 4호, 648~665, 2007.
-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도시 내용의 변화 분석 - 지식과 교육 내용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권 1호, 63~75, 2007.
- 온라인 토론에서의 의견 수렴과 사회적 실존감 수준에 관한 연구 -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온라인 토론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4권 4호, 335~346, 2006.
- 협력적 설계가로서 사회과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패러다임 모색
사회과교육, 45권 3호, 189~208, 2006.
-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성취수준별사회과 개념 구조 분석
시민교육연구, 38권 1호, 71~95, 2006.
- 제7차 사회과교육과정의 내적 타당성 평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권 3호, 41~51, 2005.
- NAEP문항반응에 기초한 미국 학생들의 지리성취수준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5호, 474~487, 2005.
- 이론과 실행의 소통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사회과교육, 제44권 3호, 5~20, 2005.
l 주요학술저서 l
- 41인의 여성지리학자 세계의 틈새를 보다, 푸른길, 2011.
- 사회과 평가론, 학지사, 2009.
- 사회과 교육학 신론, 문음사, 2006.
- 사회과교육학신론, 문음사, 2006.
- 한국의 지리교육과정론, 문음사, 2004.

INHA
UNIVERSITY










You can also request more information with this form: